거듭되는 '막말'…"정치인이 혐오 앞장

  • 5년 전
◀ 앵커 ▶

국가인권위원회가 혐오 표현에 관해 만든 가이드라인.

얼마나 심했으면 이렇게 가이드라인까지 만들었을까 싶은데요.

그런데 모범을 보여야 할 정치인들이 오히려 공공연하게 혐오발언을 하면서 차별을 조장하고 있습니다.

신수아 기자입니다.

◀ 리포트 ▶

툭하면 터져나오는 정치인의 장애인 비하 발언.

[이해찬/더불어민주당 대표(지난해 12월)]
"저게 정상인가 싶을 정도로 정신 장애인들이 많이 있습니다."

[황교안/자유한국당 대표(지난 8월)]
"북한의 미사일 도발에는 대통령이 벙어리가 돼 버렸습니다."

공식회의 석상에서 노인들을 무시하는 발언을 합니다.

[하태경/바른미래당 의원(지난 5월)]
"왜냐면 나이가 들면 정신이 퇴락하기 때문이죠."

서울시장 후보 인터뷰에선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을 부추깁니다.

[김문수/자유한국당 서울시장 후보(지난해 5월)]
"(동성애는) 담배 피는 것보다 훨씬 더 인체에 유해한 거에요. 이거 한 번 맛을 들이면 끊을 수가 없답니다."

이미 확립된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기 위해 조직적이고 계획적으로 극우세력의 혐오 표현을 확산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.

5.18 민주화 운동에 폭언과 막말을 퍼부은 한국당 의원들의 국회 토론회가 대표적입니다.

[김순례/자유한국당 의원(지난 2월)]
"5·18 유공자라는 이상한 괴물집단을 만들어내면서 우리의 세금을 축내고 있습니다."

인권위원회가 조사한 결과, 우리 국민 10명 중 6명은 국회의원 등 정치인이 혐오를 조장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

[홍성수/숙명여대 법학과 교수]
"유럽 국가들 같은 경우에는 혐오표현을 금지하는 법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요. 특히 정치인의 혐오표현은 영향력이 크다는 이유에서 더 엄격하게 다루는…"

총선이 6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, 정치권 스스로 혐오 표현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.

MBC뉴스 신수아입니다.

추천